<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다섯>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다섯> 5. - 4장 약, 레서피, 혹은 난국을 헤쳐가는 비법 : 노동은 기도고 동시에 응답이다. “일하기 싫으면 먹지도 말라” 가나안 농군 학교의 지침이다. 수도원 벽에서도 종종 볼 수 있는 글귀다. 그래서 교도소도 수용소도, 수도원에서도 일을 하게 ..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1.20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넷>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넷> 4. 3장 계란, 경비, 사랑 : 일상은 힘이 세다. 수용소도 삶이 되게 한다. 사람이 살면서 피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일까? 아니다. 어떤 처지에서 살더라도 내가 할 거라고 예상되는 것은 무엇일까? 두 가지는 분명하다. ‘하나는 영혼을 끌고 갈 힘, 예..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1.20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셋>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셋> 3. - 2장 생존하는 법을 배우다 : 동물의 왕국은 아름답지도 추하지도 않다. ‘게임 오버! 다시 스타트~’ 수용소로 들어가는 상황은 딱 그랬다. 힘이 좋아서 남보다 짐 가방을 두어 개 더 지고 들어간다손 거기서 거기인 처지 삶에서 불쑥 닥치는 ..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1.20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둘>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둘> 2. - 1장 ‘미지의 곳으로‘ : 번데기 뽑기 뺑뺑이판에 바늘 던지는 복불복 오래전 유럽 수도공동체를 보러가느라 독일 비행기 ‘루프트한자‘를 탔다. “저게 뭐야? 사막에 듬성듬성 점 하나처럼...” 고비사막 위를 날면서 본 땅에 사는 사람들 ..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1.20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하나> <산둥수용소 내 맘대로 읽기 – 하나> 1. - 서문에서 보는 이 책의 주제 : ‘산둥수용소는 오늘도 여기저기 널려 있다. 죄와 함께...’ 사람들의 숨은(숨긴) 성품이 잘 드러나는 순간이 있다. 고스톱 판. 그리고 차를 운전할 때, ‘저 사람이 저랬었나?’ 할 정도로 승부에 집착하고, 혹..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1.20
<사당동 더하기 25> 서평 <‘사당동 더하기 25‘ - 읽으면서 다시 떠올리는 가난 (1)> 1. 삶이란 그런 것이다. 어디 책 따로 설교 따로이며, 이론 따로 실천 따로가 가능하단 말인가? 그건 다 자기는 살기 싫으면서 남들에겐 좋은 말로 인기나 얻으려는 반쯤은 사기꾼인 먹물쟁이들이 하는 수작일 뿐이다. 그런 점..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1.07
<‘사당동 더하기 25‘ - 읽으면서 다시 떠올리는 가난 (1)> <‘사당동 더하기 25‘ - 읽으면서 다시 떠올리는 가난 (1)> 1. 삶이란 그런 것이다. 어디 책 따로 설교 따로이며, 이론 따로 실천 따로가 가능하단 말인가? 그건 다 자기는 살기 싫으면서 남들에겐 좋은 말로 인기나 얻으려는 반쯤은 사기꾼인 먹물쟁이들이 하는 수작일 뿐이다. 그런 점..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1.07
<묵상으로 읽는 ‘죽음과 종교‘ (6) - 제1부6장, ‘영원한 생명, 죽음 이후의 문제’> <묵상으로 읽는 ‘죽음과 종교‘ (6) - 제1부6장, ‘영원한 생명, 죽음 이후의 문제’> 기독교에서 천국을 빼면 말이 안 된다. 부활을 믿는지 여부가 기독교와 비기독교인을 구분하는 중요 기준인데, 천국이 없다면 부활한 영혼들이 어디에서 머무를까? 그냥 남의 집 처마아래나 하늘에 ..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0.20
<묵상으로 읽는 ‘죽음과 종교‘ (5) - 제1부5장, ‘죽음의 현장에서’> <묵상으로 읽는 ‘죽음과 종교‘ (5) - 제1부5장, ‘죽음의 현장에서’> 5장에서는 죽음에 대한 반응의 단계들을 여섯 가지로 설명한다. ‘부인’ ‘분노’ ‘타협’ ‘우울’ 그리고 중요한 ‘용납’ 마지막으로 ‘기대와 희망’을 말합니다. 내가 그런 상황이 되면 몇 단계부터 시작..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0.12
<묵상으로 읽는 ‘죽음과 종교‘ (4) - 제1부4장, ‘죽음의 시각으로 삶을 보면서’> <묵상으로 읽는 ‘죽음과 종교‘ (4) - 제1부4장, ‘죽음의 시각으로 삶을 보면서’> 4장으로 들어와서 그간 1,2,3장을 읽어 나오며 생기던 질문에 답이 될 만한 것들을 보았다. 예를 들면 죽음이 그렇게 자체적으로 아름답고 축복의 존재라면 왜 빨리 죽지 않는가? 왜 교회들이 신자들에.. 보고 듣고 읽고/또 보고싶은 책 201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