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는 희귀병으로 지정돼 국가에서 일정량의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치료제가 고가이고 평생 처방을 받아야 하는 특수성 때문에 ...]
이런 상황인데 누구든 발병을 하면 가정이든 생명이든 온전히 유지를 하기가 너무 힘들다. 부디 복지국가라는 말이 구호로 그치지말고 불행에 빠진 사람들의 생명을 살리는 좋은 소식이 들렸으면 ...
(매일경제 기사 내용) 팜스웰바이오,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개발 국책 과제 선정 | ||
팜스웰바이오는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개발과 관련해 지식경제부가 주관하는 강원광역경제권 선도사업 기술개발(R&D) 과제 수행자로 선정 됐다고 26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다발성경화증은 신호전달물질인 미엘린의 손상에서 오는 난치성 질병으로 현재까지 증상완화를 위한 전문의약으로 판매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희귀병으로 지정돼 국가에서 일정량의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치료제가 고가이고 평생 처방을 받아야 하는 특수성 때문에 꾸준히 시장규모가 성장하고 있는 품목이다. 전세계적으로 약 6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이다.
팜스웰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과제는 선도사업지원단에서 기술성과 개발능력, 경제성, 사업화 가능성 등 총 10가지의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1차 평가 후 현장실태조사 등을 통해 나온 결과"라며 "팜스웰바이오는 기술성과 마케팅,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부문에서 큰 점수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국책과제는 2년 과제로서 중소기업 R&D 규모면에서 매우 큰 과제가 될 것"이라며 "현재 추진 중인 바이오시밀러 사업화 역시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은 단기간 유망상품 개발로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개발 및 상품화가 가능한 지역의 역량 있는 선도기업을 지원하는 것을 과제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광역경제권별로 4개(강원.제주 2개)씩 총 20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3년간 9000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최익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회사 측에 따르면 다발성경화증은 신호전달물질인 미엘린의 손상에서 오는 난치성 질병으로 현재까지 증상완화를 위한 전문의약으로 판매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희귀병으로 지정돼 국가에서 일정량의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치료제가 고가이고 평생 처방을 받아야 하는 특수성 때문에 꾸준히 시장규모가 성장하고 있는 품목이다. 전세계적으로 약 6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이다.
팜스웰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과제는 선도사업지원단에서 기술성과 개발능력, 경제성, 사업화 가능성 등 총 10가지의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1차 평가 후 현장실태조사 등을 통해 나온 결과"라며 "팜스웰바이오는 기술성과 마케팅,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부문에서 큰 점수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국책과제는 2년 과제로서 중소기업 R&D 규모면에서 매우 큰 과제가 될 것"이라며 "현재 추진 중인 바이오시밀러 사업화 역시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은 단기간 유망상품 개발로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개발 및 상품화가 가능한 지역의 역량 있는 선도기업을 지원하는 것을 과제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광역경제권별로 4개(강원.제주 2개)씩 총 20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3년간 9000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최익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내 투병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발성경화증 환자 안락사 요청! 재판 결과!-희망이 없다는 사실... (0) | 2010.08.13 |
---|---|
환자만이 아니라 산 가족까지 끌고가는 난치병 '다발성경화증'... (0) | 2010.08.13 |
10만명중 5명 발생, 국내발병 500명중 단 몇명인 '일차진행성'이라니... (0) | 2010.08.13 |
이렇게 어려울 경우에 한다는 혈장교환을 15번이나 했으니... (0) | 2010.08.13 |
하필이면 가장 심한 분류에 들어간 재발완화형에 걸린 아내... (0) | 2010.08.13 |